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 기술동향

분석구분
미래유망기술분석
과제수행자
박*만
분석일
2012-10-24 00:00:00.0
기술산업분류
정보통신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
과학기술표준분류
통신
내용
다중 이종 단말의 동기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콘텐츠 및 서비스 지원, 단말 플랫폼 및 솔루션 지원, 인터페이스 기술 및 네트워크 지원기술의 호환성 확보와 표준화 반영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융합 플랫폼 개발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플랫폼 기술과 소프트웨어, 서비스플랫폼에 대한 기술 구현방식 및 구성과 연계기능 및 관련기술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연구목적은 서비스플랫폼의 기술 및 특허, 표준 동향을 분석 고찰하고 결론으로 서비스플랫폼 개발 구축과 방향성에 대한 핵심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기존기술의 지속적 진화 가정아래 서비스플랫폼 기술과 표준화 및 특허동향, 서비스플랫폼 구축 및 기술구현의 핵심 동향을 도출하고 고찰결과를 제시한다.

다중 이종기기 간의 융합 서비스를 위해서 공급자 인프라 프레임워크 및 플랫폼과 서비스콘텐츠, 사용자단말 기술이 확보되어야 하며, 서비스 대상으로서의 콘텐츠를 넘어 서비스플랫폼자체를 콘텐츠 상품화해야 한다. 최근 SNS를 글로벌콘텐츠 유통과 서비스 공급창구로 활용하려는 소셜 플랫폼사업을 글로벌하게 확대해야 한다. 글로벌 서비스플랫폼의 대응은 고유플랫폼 개발보다 킬러 서비스플랫폼의 개발지원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산업별 다중 융합서비스를 위해 중소기업들과 시스템적 서비스플랫폼 공유 및 협업적 구축지원이 필요하다. 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범용 서비스플랫폼 기술개발을 통한 국가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