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마찰교반스폿용접을 이용한 비철금속 접합기술

분석구분
미래유망기술분석
과제수행자
김*식
분석일
2011-10-31 00:00:00.0
기술산업분류
재료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마찰교반스폿용접     
과학기술표준분류
재료
내용
미래 유망기술로서 비철재료의 마찰교반점용접(Friction Stir Spot Welding; FSSW 이하 FSSW라 함)에 대하여 국내 및 해외의 기술동향과 학술 문헌정보를 분석하고 장래 전망을 고찰하였다. FSSW는 재래의 저항점용접과 비교하여 에너지효율이 높고 흄(fume)발생이 적으며 부재 겹침부의 표면성상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또한 접합강도가 저항점용접보다 높고 우수한 접합품질을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이고 고효율의 용접법이다. 이 접합법은 2003년에 일본에서 실용화된 이래 Mazda, Toyota 등 자동차회사에서 자동차의 차체 생산라인에 적용되어 경량화와 생산비 절감을 실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FSSW 관련 연구개발 활동은 논문 발표건수나 특허출원 건수에서 전체의 10% 수준으로 저조한 상태에 머물러 있고 접합강도 수준도 외국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 기술의 실용화 실적은 전무한 상태이다. 금후 FSSW 기술은 비철재료와 철강소재와의 이종재료 접합기술, 장수명 고효율의 접합 툴 소재 및 형상개발, 접합품질 보증을 위한 공정모니터링 기술, 레이저 광원과의 하이브리드 기술, 로봇시스템화 기술 등의 개발이 진행되어 갈 것이다. 현재 FSSW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분야는 자동차 분야에 국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FSSW 기술의 원천기술인 마찰교반용접(FSW) 기술이 이미 적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고속선박, 우주항공, 철도차량 분야에 FSSW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어 갈 것이다. 나아가 기존의 철강소재의 자동차, 선박, 가전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재래의 저항점용접의 대체기술로 빠르게 확산되어 갈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