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CaO-based 흡착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김*철
- 분석일
- 2011-10-31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에너지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흡착제 이산화탄소
- 과학기술표준분류
- 에너지 · 자원
- 내용
-
국제사회는 2050년까지 세계 CO2 배출량의 50% 감축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저탄소 에너지기술에는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등 여러 가지 기술들이 있으나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도 CO2를 감축할 수 있는 기술은 CO2 포집 및 저장기술(CCS)이 거의 유일하다.
CCS기술은 CO2를 대량 배출하는 화력발전, 철강, 정유, 시멘트, 석유화학, 천연가스 생산, 바이오매스 에너지시설 등에 적용되는 기술이며 배출된 CO2의 85~95%를 포집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기술이 실증 중에 있다.
CO2 포집기술 중에서는 아민계 화학흡수법의 연소 후 포집기술이 일부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기술적 특성이 뛰어나 차세대 기술로 평가되는 CaO-based 흡착제를 이용한 연소 전 CO2 포집기술은 아직까지 개발과정 중에 있다.
이 기술은 우선적으로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및 석탄가스화/연료전지복합발전(IGFC)과 연계하여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고온/고압에의 적용, 높은 전환율 등 여러 가지 장점들이 많아 앞으로는 화학흡수법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미국, 일본, EU 등에서는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CaO 흡수제를 중심으로 기술개요,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및 기술수준을 요약하고 5∼10년 후를 전망하였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