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통방융합 네트워크 기술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장*석
- 분석일
- 2009-08-19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정보통신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통방융합
- 과학기술표준분류
- 통신
- 내용
-
방송통신 융합의 빠른 추진에 따라 콘텐츠, 네트워크, 단말, 서비스, 사업자 측면에서 방송통신 융합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방송통신 융합에 의해 이용자 참여형 방송, 정보 창조형 방송 등의 단계를 거쳐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오감을 이용한 오감지원 양방향 맞춤형 방송기술로 발전할 전망이다.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국내 IPTV 기술 수준, 5 ~ 10년 이후의 예측 등을 분석하였다. 2007년도 우리나라 방송시장 규모는 9.4조 원으로 2006년보다 3.3% 증가하였다. 시장 점유율은 지상파 방송 37.1%, 유선방송 16.6%, 위성방송 5%, PP 41.2% 수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중심으로 차세대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방송통신 융합기술 연구개발 전략’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IPTV를 포함한 IPTV 2.0을 개발하고 있다. IPTV 2.0은 2012년에 상용화될 전망이다.
2008년 3월에 우리나라는 방송통신위원회가 발족되어 디지털 융합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방송통신융합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방송통신 정책 및 규제 기능이 일원화되었다. 방송과 통신의 규제기관이 일원화된 장점을 최대한 발휘함으로써 세계 속에서 우리나라가 IT강국으로 다시 한번 도약하는 발판이 되어야 한다.
2010년까지 수직적 규제에서 수평적 규제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송통신 융합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융합 콘텐츠의 활성화, 방송서비스 시장의 선진화, 통신서비스 시장의 투자활성화, 주파수자원 이용의 효율화, 방송통신망의 고도화, 이용자의 복지증진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방송통신은 오늘날 국민의 삶의 질, 국가경제, 사회 인프라 등을 통하여 국가 경제성장을 견인하게 된다. 앞으로 삶의 질 향상, 산업발전 견인, 사회 인프라의 고도화 등을 통하여 선진 국가사회의 인프라 기반을 구축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