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차세대 메모리로서의 상변화 메모리(PRAM)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황*룡
- 분석일
- 2009-06-01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전기·전자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과학기술표준분류
- 전기 · 전자
- 내용
-
지식정보화 사회인 21세기의 본격적인 진입에 따라 반도체 산업 중 차세대 메모리 산업분야는 초소형?대용량?초고속?저가격?저소비 전력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메모리기술의 개발을 선점하는 것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차세대 메모리 후보군 중에서 상용화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알려진 P램에 대해, 세계 3대 저명 학회 (IEDM, VLSI, ISSCC)에 출간된 최신 논문과 특허 및 제반 자료들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술수준과 향후 개발동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삼성전자가 2006년 512Mb P램제작에 세계최초로 성공한 이후, 가장 앞선 기술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45나노급 제품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으나, 최근 P램 기술을 통해 살펴본 경쟁사(인텔, ST마이크로, 히타치, IBM, 엘피다 등)들은 보다 높은 기술경쟁력 및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와 단일회사의 개념을 넘어 활발한 전략적 제휴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 주의를 요하는 사항이다.
원천기술의 추가적인 확보와 핵심적인 선행연구 진행을 위해서, 그간 역할이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학계 및 국립 연구소의 보다 적극적인 R&D활동과 관심이 요구되고 있으며, 산학연 공동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