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광전달망 네트워크 기술

분석구분
미래유망기술분석
과제수행자
장*석
분석일
2009-05-28 00:00:00.0
기술산업분류
정보통신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광  네트워크  
과학기술표준분류
통신
내용
광전달망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반기술의 발 전전망과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을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5 ~10년 이 후의 광전달망 네트워크 기술을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차세대 네트워크는 다양한 네트워크와 서비스에 자율적으로 적응하고, 자기관리 기능, 자기보호 기능, 자기최적화 기능 등을 갖출 필요가 있다. 앞으로 5 ~ 10년 이후의 네트워크 발전방향, 발전전망,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등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의 세계시장을 Cisco Co. 등 글로벌 다국적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규모 150조 원 중에서 우리나라 생산액은 3.9조 원으로 세계시장 점유율이 2.7%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네트워크 산업의 선순환구조 정착을 위한 새로운 발전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인터넷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네트워크로의 진화에 따른 기술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u-City 구축, 행정?국방 네트워크의 고도화를 통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지식경제부는 2015년 세계 네트워크산업 강대국 도약의 비전과 전략에 따라 네트워크 산업을 견인하고 있다. 차세대 네트워크의 기술과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네트워크 5대 전략품목에 3,000억 원을 투자하여 차세대 핵심기술 개발, 테스트베드 구축, 상용화 촉진 등을 적극 추진한다.
네트워크의 AII-IP화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컨버전스 TDM기반에서 AII-IP기반으로 발전시킨다. 네트워크의 진화방향은 다양한 융합서비스를 쉽게 제공할 수 있는 유무선 중심의 멀티미디어 통합 네트워크로 진화시키는 것이다. AII-IP화는 미래 네트워크의 궁극적인 진화방향이다. 목표 네트워크는 AII-IP, AII-Optic, 공통 플랫폼 기반의 품질보장형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를 완성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전략 및 기술발전 방향에 적합한 코어 네트워크의 로드맵을 작성하여 투자효율을 제고하고, 서비스 수용이 용이하며 유연한 인프라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코어 네트워크의 운용현황을 고려한 시스템을 TDM기반의 교환망과 IP기반의 데이터망으로 구분하여 실천계획을 추진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