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자동차 유닛 및 부품의 신뢰성기술 분석

분석구분
미래유망기술분석
과제수행자
임*생
분석일
2009-03-22 00:00:00.0
기술산업분류
일반기계
작성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키워드
자동차     
과학기술표준분류
내용
에너지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기자동차와 Hybrid 자동차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에는 모터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고전압 대전류로 보내기 위한 특별 시방의 고압 Harness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42V 전압의 이용은 부하증가에 대해 전압을 올려 전류를 억제하는 것으로 전선의 소형사이즈 효과가 기대된다. 최근에는 차량의 고기능화에 따른 엔진룸 내에 탑재된 제어기기, 보조부품, 센서부품 등의 밀집도가 높아 플라스틱재료가 열열화 및 저온 취화를 일으키고 충격과 굴곡에 의해 플라스틱부품의 균열현상을 예방하는 신뢰성기술이 필요하다. 신뢰성설계를 하기위해서는 ① 접속에 문제가 있어도 기기로서 필요한 기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설계(Safety design), ② 일부 부품, 부분에 이상발생이 있어도 기기전체로서는 기능불량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설계(Redundancy design), ③ 부품편차, 경시변화, 환경열화 등이 있어도 부품에 이상발생에서 기능문제가 발생해도 인적, 물적 손해로 연결되어 안전사고로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설계(Robust design)가 요구된다. 따라서 자동차 유닛 및 부품에 대한 신뢰성기술을 향상시켜야 한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