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토양오염 예방, 정화 및 관리 기술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변*각
- 분석일
- 2009-03-21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환경·건설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토양오염
- 과학기술표준분류
- 내용
-
우리나라의 토양환경보전법은 1995년에 제정되었으며 토양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등 토양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토양을 생태적으로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토양이용 및 토양보전을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우리나라 토양.지하수 환경 시장의 90% 이상을 국내기술로 대체키 위하여 토양.지하수 오염방지기술개발사업(GAIA Project)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우리나라의 토양오염물질 규제항목은 총 17종으로 선진 외국에 비하여 부족하고 중금속 항목 위주로 되어 있다. 향후 농약류, VOCs 등 국민의 건강과 자연환경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토양오염물질의 조사항목이 점차 확대되리라 전망된다.
토양오염 정화산업의 시장규모는 1995년 2,000억 원, 2005년 5,000억 원, 2015년에는 3조원 이상으로 증가하고, 이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점점 파괴되어가고 있는 지구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토양오염 예방, 정화기술 개발 및 관리 등의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