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병원내 감염 예방기술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차*진
- 분석일
- 2008-04-25 11:04:02.0
- 기술산업분류
- 바이오
- 작성기관
- 차욱진
- 키워드
- 병원감염
- 과학기술표준분류
- 내용
-
우리나라에서 병원감염문제는 1980년대 초 서울시내의 한 병원에서 네지오넬라증(Legionllosis)의 집단 발생이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면서 대두되기 시작했고, 전 국민 의료보험실시 이후 의료이용량 증가와 병원의 대형화 등으로 보균자의 입·퇴원 증가. 만성퇴행성질환자 등 감염우려가 있는 환자의 발생증가 추세로 감염관리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특히 중환자실 감염 관리는 원내 감염관리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다. 다른 병동에 비교하여 중환자실에서의 병원 감염의 위험은 1.7 ~ 7배 정도 높으며, 30% 이상의 발생률을 가지기 때문이다. 중환자실에서의 병원 감염률이 높은 이유는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들 각자가 감염 질환에 이환되기 쉬운 소지를 적어도 한 가지씩은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병원감염은 의료기관과 의료인의 감시, 예방, 관리만으로는 줄일 수 없고 환자 및 보호자, 방문객의 감염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음의 유의사항들에 대해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병원감염 예방 program, 메뉴얼을 만들어 실천적으로 관리하여야 하고, 관계자의 실천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식품 및 의술에서 항생제의 남용은 미생물의 만연으로 이어졌다. 미생물은 항생제의 살균작용의 내성의 관련 기작을 숙지하면 새로운 약제를 설계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균주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는 기작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기존에 있던 유전자의 돌연변이, 다른 하나는 새로운 유전자의 획득이다. 앞으로 우리가 이런 중대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미생물 유전체의 유동성과 그리고 돌연변이와 유전자 획득에 의해 비교적 쉽게 내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