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나노산화티타늄(TiO2) 소재 제조기술

분석구분
미래유망기술분석
과제수행자
김*환
분석일
2008-04-25 00:00:00.0
기술산업분류
재료
작성기관
김용환
키워드
나노재료     
과학기술표준분류
내용
산화티타늄은 오래전부터 상업적으로 안료, 페인트, 치약, 선 크림 등 많은 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1972년 일본의 Fujishima와 Honda는 산화티타늄 전극과 빛을 사용하여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되는 사실을 보고하였다. 이를 Honda-Fujishima 효과라 하며 광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대량의 물질을 한번에 처리하기에는 부절적하여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실현되지 못하였다.
1992년 캐나다에서 개최된 1회 산화티타늄 광촉매 국제회의에서 광촉매의 새로운 연구 발표를 계기로 광촉매에 의한 대기정화, 수질정화, 항균 및 방오 효과에 대한 연구개발이 급속도로 이루어져 최근에는 산화티타늄을 활용한 각종 가전제품이 일상생활에 이용되게 되었다.
티타늄은 지각에서 9번째로 많은 원소로서 TiO2와 같은 산화물 형태로 발견된다. 최근에 산화티타늄을 이용한 다양한 나노구조의 합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1990년대에 주형을 이용한 합성, 전기화학적합성, 알칼리 분위기에서 수열합성 등을 이용하여 산화티타늄 나노튜브가 발표되었다.
여기서는 나구조의 산화티타늄 합성방법, 특성개질 및 광촉매의 제조, 응용기술의 연구 개발동향 대하여 살펴본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