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AM-OLED 대면적 디스플레이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양*덕
- 분석일
- 2008-02-29 05:13:30.0
- 기술산업분류
- 정보통신
- 작성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키워드
- LCD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 과학기술표준분류
- 내용
-
2007년 10월 KISTI에서는 「AMOLED 대면적 디스플레이」를 2007년도 미래유망 기술 100선 중의 하나로 선정하였다. 이는 현재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아직도 개발 중에 있는 기술 분야로 상품화 되어 있다고 하기에는 이르기 때문에 선정하였을 것이다. 대면적이라 하는 것은 모바일이나 휴대폰 정도에 사용하는 5인치 미만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TV에 사용할 수 있는 20인치 이상의 크기를 가져야 붙일 수 있는 말이다.
능동모드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 디스플레이는 PDP나 LCD 와는 전연 다른 시스템이다. 전자에 비하여 후자들은 배면 광(back light)으로 빛을 내지만 OLED는 자체발광으로 빛을 낸다. 때문에 응답속도가 LCD에 비하여 1000배 이상 빠르고 전체 시스템의 무게 또한 LCD에 비하여 1/3로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 넓은 시야각, 동화상, 제조공정의 단순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발광 재료의 수명, 대형화, full color화 등에서 해결해야할 문제도 많다.
상기의 장점으로 인하여 AMOLED 대면적 디스플레이는 5년 내에 중량을 LCD보다 1/10로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며 소모전력을 1/3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는 분명히 오늘의 기술수준을 미루어 볼 때 가능성이 있으며 10년 내에 도시의 전광판이 AMOLED 디스플레이로 덮이게 될 것이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