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정보분석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맞춤형 정보분석

과제명 : 항산화 식물화학물질 (phytochemicals)

분석구분
미래유망기술분석
과제수행자
신*현
분석일
2008-02-29 04:56:49.0
기술산업분류
바이오
작성기관
신국현
키워드
활성산소  산소화합물  
과학기술표준분류
내용
1990년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국내외적으로 보고된 식물성항산화작용물질에 대한 연구동향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일견 수많은 다양한 구조의 flavonoid, isoflavonoid, catechin, stilbestrol, phytosterol, anthocyanin 등, 기존 또는 새로운 식물성 성분들의 화학구조와 항산화활성이 구명 보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측정방법의 주류를 보면 DPPH radical, superoxide radical 소거 등, in vitro에서 radical 소거효과를 지표로 한 측정이 국내외를 통하여 나타나고 있으며 생체의 간이나 다른 장기의 조직이나 세포 수준에서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예는 외국의 경우는 나타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매우 드물다. 즉, 어느 한 가지 성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항산화기전을 명확하게 구명한 예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수많은 식물성분들이 분리 되어 그 활성이 측정되었다 하드라도 아직도 임상적으로 뚜렷하게 내놓을만한 성분이 매우 드물 수밖에 없다. 물론 함유성분이 다양할 뿐 아니라 식물성분에 따라서는 미량이라 충분한 량의 측정원료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다만 포도의 항산화성분으로 이미 잘 알려진 resveratrol은 그 생물활성이 다각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앞으로 새로운 항암제나 항 노화제 등 임상적으로 후보물질로 될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 개개의 성분들의 항산화활성과 그 작용기전이 뚜렷이 밝혀짐으로서 천연식물 유래의 기능성이 밝혀짐은 물론 새로운 안전한 신약후보물질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분석물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