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 분석구분
- 미래유망기술분석
- 과제수행자
- 손*목
- 분석일
- 2008-02-29 00:00:00.0
- 기술산업분류
- 화학·화공
- 작성기관
- 손영목
- 키워드
- DMFC 전극촉매 마이크로 연료전지
- 과학기술표준분류
- 내용
-
DMFCs는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용으로 가장 적합하나 발전/수송용에 비해 효율이 낮다. DMFCs는 막과 대량 생산기술 등에서 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상업적으로 DMFCs는 시장에 접근하고 있다고 보는데, 발전용의 SOFCs와 MCFCs의 뒤를 따르고 있다고 본다.
전극촉매는 신형 카본 재료가 촉매 담지체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수한 촉매 담지체의 개발에 힘입어 머지않아 DMFC의 전극촉매의 새로운 기술 진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전해질막은 아직 DOE 요구특성을 만족하지 못한다. PolyFuel사의 5,000시간 수명과 Pall사의 1,000시간 안정성과 Nafion보다 약 4배 낮은 MCO가 돋보인다. 값싸고 낮은 MCO와 높은 전도도 그리고 안정성을 갖춘 탄화수소막이 비싼 Nafion 대체의 유력한 후보이다. 금후 전망이 있는 막으로는 sPTES, sPEEK와 PBI의 블렌드, 그리고 sPPZ가 있다. DMFC가 주로 적용되는 마이크로 연료전지는 노트북용 시장 및 휴대폰용 시장이 주종 시장을 이룰 것으로 예측하는 가운데, 이들 시장에 본격 진입하기 위해서는 연료전지와 부품의 생산 코스트, 메탄올 크로스오버 및 전류밀도의 개선과 Pt 촉매량의 저감 등 기술 장애를 극복해야한다.
이 보고서는 미래유망기술 100선에 선정된 DMFC에 대한 주제조사 보고서이다. 기술동향 부문에서 전극촉매와 전해질막 등에 대한 내용이 비교적 상세히 기술되며, 국내의 현황과 5~10년후의 예측 등이 수록된다.
- 분석물
- 등록된 분석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