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령자의 노쇠증과 근육 감소증 예방을 위한 신기능 영양식품과 운동의 효과

전문가 제언

 

 

 

 

 

Rosenberg(1989)는 노화(가령)에 따른 lean body mass(LBS)의 저하를 근육감소증(sarcopenia)이라 정의하고 이의 예방책은 근육량의 상승이라 하였다. 또한 Fried 등(2001)은 노쇠 증상(frailty)을 “근력쇠약, 보행 속도저하, 활동량 감소, 피로, 체중 감소”의 5가지 판정 항목 중에서 3항목이상 해당할 경우라고 제안하였다. 이들 허약증 예방책은 근력향상, 보행 속도개선, 활동량 상승, 기력 및 체중유지가 유효하다고 하였다.

 

일본낙농유업협회(2015.10)와 일본노년의학회(2014)자료에 의하면 “쇠약(frailty)”이란 “고령기에 생리적 예비기능이 저하되어 스트레스에 더 취약해지고 생활기능 장해, 요 간호 상태, 사망 등의 위험에 빠져들기 쉬운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국내 연구는 별로 없으나 노인건강운동정보로 노화과정의 근 감소증 방지를 위한 근 기능 강화운동; 노화에 따른 근 감소증과 근육위축의 메커니즘에 대한 신체 활동 연구(계명대체육과 안나영 2010), 노인 건강운동, 노인의 근 감소증에 대한 정보와 노화에 따른 근 기능의 생리적 변화(최철민 박사 2016)등이 있다. 미국 경우 65∼70세 고령자의 근 감소증 유병률은 13~24%이고 80세는 50%발병률이 보고되었다.

 

한편 고령자의 근육량 상승에는 영양보충도 유효하다. 선행연구에서 권장되는 영양성분으로는 단백질, 차 카테킨, 비타민 D, ω3지방산, 유지방구 피막, 아미노산 등이다. 이 중에서도 필수아미노산이나 차 카테킨 보충이 근육량이나 근력증가, 보행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연구는 우리나라도 초 고령화시대에 접어든 만큼 근 감소증에 대한 주의와 관심 그리고 의약과 식품분야 공동으로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운동요법과 식품성분을 보충함으로 근육량이나 근력의 증대는 물론 보행속도의 향상을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계속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Kim H.K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51(7)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3~77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