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생산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바이오가스 생산경로를 대상으로 환경지표로 투입에너지 대 회수에너지 비, 탄소족적 그리고 생태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가축의 분뇨로 혐기성 소화를 통해 얻은 바이오가스를 업그레이드하여 배급망급 가스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 세 환경지표를 실제 계산하여 실례를 보였다면 더 이해하기 쉬웠을 것이다.
○ 투입에너지 대 회수에너지 비는 비교적 이해하기 쉬운 개념이다. 그러나 재생에너지 생산과 사용에서 발생하는 탄소는 자연계의 탄소순환의 한 부분으로 간주하여 탄소중립이라 가정한다. 그러나 바이오매스의 재배와 처리에서 발생되는 탄소배출은 그렇게 보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바이오가스 생산과정에 투입된 에너지 중 재생에너지와 화석에너지를 어떻게 다르게 처리하는가는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 탄소족적은 분명하게 정의된 학술용어이다. Rees와 Wackernagel의 탄소족적 계산에는 두 방법이 있다. 하나는 농업적 자원이나 화목으로 같은 양의 에너지를 얻는데 필요한 토지로 결정한다. 둘째는 화석연료 연소에서 나오는 CO2를 격리하는데 필요한 토지면적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탄소족적의 단위는 면적이 된다. 생태학적 족적은 가용할 수 있는 바이오-생산 토지의 면적과 비교하여 지속가능성을 판단한다. 지역적으로 그 곳의 가용 바이오-생산면적보다 작은 생태학적 족적은 어떤 형태로 바이오-용량을 외부에 팔 수 있다. 가용면적보다 생태학적 족적이 크면 그 차이만큼 외부에서 바이오-용량을 사들여야 한다.
○ 나머지 하나 생태포인트는 인간의 건강, 생태계와 자원고갈 세 가지 점에서 점수를 산출하는데 이를 하나의 점수로 나타내려면 가중치가 매우 중요하고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아울러 이는 매우 주관으로 나타날 맹점이 있다.
○ 우리나라에서 바이오가스 생산에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생산 및 사용이 환경에 미치는 임팩트를 계산하려는 연구를 하고 있다는 정보는 얻지 못하였다.
- 저자
- Pierie, F., Bekkering, J., Benders, R.M.J., van Gemert, W.J.Th., Moll, H.C.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162()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31~138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