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낙농 혼합 농장과 전문 낙농장의 환경성과 비교
- 전문가 제언
-
○ 작물-가축 혼합 영농시스템은 가축전문 영농시스템에 비해 보다 환경 친화적으로 생각되지만 각각 다른 영농 활동 간의 상호작용 때문에 얻게 될 이익을 정량화하기가 쉽지 않다.
○ 전과정 평가 (LCA: Life Cycle Assessment)를 이용하여, 가축전문 농장이나 작물-가축 혼합 농장시스템 중 하나에서 우유의 환경영향을 비교하기 위해서 다양한 할당절차(과정, 순서)와 시스템 확장을 시험 했다.
○ 두 번째 접근에서, 우유, 육류용 가축 판매 및 작물로 구성된 기능단위 인 부가적인 시스템 확장을 통해 전반적인 농장시스템을 비교했다.
○ 제품 수준에서, 혼합농장에서 생산된 우유는 배분방법에 관계없이 재생 불가능한 누적에너지수요, 육지 생태독성 및 P사용이 높았지만, 수생의 부영양화 질소는 낮았다.
○ 기타 다른 영향 범주에서 차이는 심각하지 않았다. 농장규모에서는 결
과가 부분적으로 바뀌었다. 혼합시스템은 에너지수요와 칼륨사용이 적
었던 반면에 P사용은 높았다. 농장시스템에서 기타 차이는 심각하지
않았다. 제품과 농장 수준에서 순위가 다른 것은 농장 활동의 속성인
분뇨(관리 방법) 때문이었다.
○ 국립축산과학원(박유성 외, 2015)은??낙농우(젖소)로부터의 우유생산에
대한 전과정 평가??에서 전과정 단계별로 환경영향을 산정하고 주요
이슈를 규명하였다.
○ 시스템 경계는 젖소를 위한 사료작물 재배, 사료가공, 전소 관리와 가
축분뇨처리(cradle-to-gate)이고, 기능단위는 1 kg의 우유(Fat Protein
Corrected Milk, FPCM(유지 및 단백질 보정유)) 생산이다. 국내 낙농
우(젖소) 시스템의 환경영향은 사육단계, 사료작물 재배단계가 분뇨처
리단계 및 사료생산 단계보다 더 많은 환경영향범주에서 주요 전과정
단계로 규명되었다.
- 저자
- Silvia M.R.R. Marto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24()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3~83
- 분석자
- 진*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