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정 보어 입자의 세척 유체
- 전문가 제언
-
○ 이 발명은 주로 유정의 시추 공정과 관련된 처리 공정의 하나에 속하는 발명이지만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꼭 석유의 시추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석유 유정 외에도 가스, 물 생산정, 주입정, 혹은 지열공 등 시추공의 수지 경화를 위해 필요한 전처리 과정인 유정보어 입자들의 세척에 관한 기술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척유체에 사용될 친환경 계면활성제와 첨가제의 선정 및 사용 방법 등을 담고 있다.
○ 명세서의 시험 결과인 세척용 세제(DAWN)와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아민설페이트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아민을 넣은 세척용 유체의 원유 제거 능력은 더 이상의 정량적 분석 없이 거의 대등한 성능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고 다른 청구항의 계면활성제들도 비슷한 성능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요지는 계면활성제가 들어가면 거의 대등한 효과를 나타내며 친환경 범주에 드는 계면활성제와 첨가제들을 정하고 성능의 차이는 처리 공정의 변수로 조정한다는 것이다.
○ 이 발명에 새로운 친환경 계면활성제의 개발을 담고 있지는 않다. 그리고 발명에 언급된 계면활성제나 첨가제들이 가진 생분해 성능이 특별히 뛰어난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이 발명에서 출원자는 OSPAR 위원회가 정한 생분해도의 범위 등 친환경 규정에 부합하는 각종 친환경 계면활성제를 정하고 유정보어 입자의 세척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청구범위에 담고 있다. 세계 굴지의 에너지개발회사인 출원자는 친환경 계면활성제의 범위 안에 있는 각종 계면활성제를 다 망라하여 이 용도로 사용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출원자는 할리버튼이라는 미국의 다국적기업으로 80여 개국 이상에서 사업을 가동 중인 세계에서 제일 큰 유전 용역 회사이다. 2010년 멕시코 만의 원유 누출 사건인 “딥워터호라이즌” 호의 폭발을 비롯하여 원유 관련 각종 논쟁과 소송으로 엮인 일이 많은 만큼 친환경 공정에 대한 관심도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도 유전 개발의 관심이 크고 실체로 진행하고 있는 기업도 있어서 이 공법과 청구항의 계면활성제 사용에 대한 관심을 배제할 수가 없을 것으로 본다.
- 저자
-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US]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319181
- 잡지명
- U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
- 분석자
- 장*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