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용접 로봇 기술 현황
- 전문가 제언
-
○ 국내의 조선, 해양기자재 산업을 위시한 각종 제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이들 산업의 기반공정인 용접공정의 능률과 생산성 향상 및 인건비절약을 위해 용접공정의 자동화와 로봇화가 필수적이며, 또한 용접기능 숙련기술자의 인력부족과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용접공정의 로봇화와 그에 따른 용접품질관리 기술은 시급한 과제이다.
○ 용접 자동화는 용접 캐리지(carriage)나 토치 오실레이터로 대표되는 소위 자동기의 시대에서 고도의 기능을 갖춘 로봇시대로 발전되고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기술, 통신기술, 정보처리기술, 제어기술 등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 용접로봇의 기술도 크게 고도화하고 있다.
○ 아크 용접로봇은 사용자에 특화된 적응제어에 의한 용접을 실현하는 로봇이 개발되고, 로봇용 센서로는 아크센서나 레이저센서에 대신하는 CCD나 CMOS 카메라를 사용하여 그루브 위치나 갭 폭을 검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금후에는 소품종 대량생산분야에 주로 보급되어 있던 아크용접로봇이 조선 해양 구조물 분야의 1품종 생산 현장에도 그 보급이 확대되어 갈 것이다.
○ 본 해설기사는 아크용접 로봇의 CPU제어장치, 로봇의 동작 기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리고 로봇 아크용접에서의 품질관리와 로봇에 채용되고 있는 센서의 개발 현황에 대해 서술한 내용이다. 특히 로봇 아크 용접에서의 품질관리에 있어서 PC에 의한 트레서블리티(traceability)기능을 이용하여 용접시공불량을 검출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용접불량을 검출하는 방법 등에 관해 서술한 내용으로 아크용접 로봇 기술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 현재 용접전원은 디지털화로 고능률을 실현하고 스패터를 비롯한 각종 용접결함을 제어하는 기술이 발전되고 이러한 기술들이 아크용접 로봇과의 접목을 통해 더욱 고도화 하고 있다. 따라서 용접공정의 무인화, 용접부의 고품질화가 달성되어 이러한 기술이 산업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 저자
- ERA Tetsuo, MIZUURA Shigeto, HIROTA Shug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85(7)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37~641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