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부식질을 환원시키는 퇴비화 미생물의 연속성, 다양성 및 물리화학 변수와의 관계

전문가 제언

국내에서도 퇴비생산을 위해 음식폐기물, 축분 및 하수슬러지가 경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퇴비소요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무기질비료 품질에 근접되도록 퇴비품질을 높여야 한다.

 

유기질비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질소, , 칼륨과 칼슘 등의 영양염과 광물성분도 필요하고 병원균도 존재하지 않아야 하지만, 퇴비가 안정되고 발아지수도 높아야 한다. 기존 유기질비료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본고와 같이 보다 전문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본고는 부식질을 환원시키는 미생물의 연속성과 다양성 및 물리화학 변수와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검토했다.

 

부식질을 환원시키는 미생물(HRMs)은 박테리아 표면에서 전자를 부식

질로 이동시켜 오염된 환경의 생물정화를 촉진시킨다.

 

이 연구를 위해 계분, 유우분과 옥수수 대가 별도의 퇴비화를 거쳤고,

세 종류의 퇴비 간에 발생했던 HRMs군집의 현저한 차이가 퇴비화에

사용되는 원료물질의 차이 때문이었다.

 

퇴비화과정에서 HRMs 군집의 문(phylum) 수준이 분명히 변동했고,

백세균이 최대이었으며, 속 수준에는 슈도모나스가 가장 우세했다.

 

발아지수는 첫 번째 축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기물은 두 번째

축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국내의 퇴비화연구는 전문가가 부족하며, 대부분의 연구가 농업진흥청에 의해 주로 퇴비의 부숙도에 치중해왔고, 상업적인 연구개발은 통기조건, 숙성기간 또는 추가물질 등으로 수행되어왔다. HRMs는 오염된 토양도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유기질비료연구가 촉진되어, 토양산성화를 초래하는 무기질비료를 조기에 대체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자
Beidou X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219()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4~211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