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인 항공기의 자동화된 비전 기반의 충돌 회피 기술 동향

전문가 제언

세계 최초의 무인항공기는 1930년대 초 세계 1차 대전 중 영국이 사용한 Droned Fairy Queen이었으며, 군사적 목적으로의 효용성을 확신시켜준 계기는 1991년 발생한 중동의 걸프전이었다. 최근 들어 세계 각국에서 무인항공기 개발과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이스라엘을 선두로 고성능의 무인항공기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군사용 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된 무인항공기는 최근 들어 민간 분야로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시장 조사 업체 리서치앤드마켓은 무인항공기 시장이 2020년에 15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무인 항공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농업, 측량, 촬영, 원유 및 전력 시설 감시 등에서 향후 GoogleAmazon이 추진하고 있는 무인 배송 영역까지 활용 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무인항공기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높은 공역에서 무인항공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무인항공기와 유인항공기의 충돌이 주요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무인항공기의 충돌회피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유인항공기는 충돌 방지를 위해 관제탑의 지시에 따르고 최종적인 충돌회피는 조종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무인항공기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기 때문에 유인항공기와 동등한 충돌회피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변을 탐지하고 회피하는 충돌회피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민간공역 비행을 위해 무인항공기가 유인항공기와 동등한 수준의 탐지 및 회피 능력을 보유해야 하며,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무인항공기의 유인항공기 공역 진입을 위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왔고 현재의 Detect-and-Avoid 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의 소형 무인항공기 시장은 저가 취미용에서 농업·영상감시·인프라 관리·공공활용 분야 등 성능과 품질, 신뢰성이 결합된 제품군으로 확대되고 있다. 20139,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2%씩 성장하여 2022년에는 52,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충돌회피 등 관련 산업 육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저자
Aaron Mcfadyen, LuisMejia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80()
잡지명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17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