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도만능 줄기세포에 근거한 항-노화 치료 현재와 미래

전문가 제언

인체생물학의 문제는 우리들의 만능 불멸의 재생세포들이 신체 내에서 분화하여 증식능력을 영원히 상실한다는데 있다. 따라서 우리 몸의 세포들은 사멸한다. 즉 이들은 일정기간 생존하며, 독소, 사고 혹은 질병에 의해 손상을 입은 세포들을 재생하고 및 수선하는 능력 기간이 일정해 졌다. 결과적으로 우리 몸의 기능은 점진적으로 쇠퇴하며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다.

2007년에 일본의 Yamanaka와 미국 위스콘신의 Thomson은 전사인자가 진화의 시간을 성공적으로 되돌려 놀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피부세포를 배아세포 상태로 돌려놓은 것이다. 이 연구는 아직도 획기적인 연구로 받아지고 있다. 이들은 배아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윤리적 문제가 없다. 이들을 배아줄기세포가 아니라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라 칭한다.

노화과정의 생물학적 특성은 줄기세포 소진과 세포노화이다. 어느 약물도 근육감소증과 같은 노화를 방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최근 노화-관련 질병들 및 항-노화 치료들이 재프로그래밍에 의한 재생치료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새로운 방법은 유도만능줄기세포들 (iPSCs)에 근거하고 있다. 즉, 조직수선을 위한 in vivo 재프로그래밍이다. 다른 하나는 세포노화의 경로를 표적으로 한다. 이는 p16INK4a 신호 및 특히NF-kB의 저해이다.

국가RnD연구보고서로 광주과학기술원 (2014)에서 “저분자 분화조절제를 이용한 환자 자가유래 iPSCs의 생산과 심근 경색 세포 치료에의 적용”이 있다. 이 연구는, 세포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chemic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ciPSC)을 생체에 안전한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신규저분자 화합물을 신규 합성하였으며 (대표물질: LDD1821), 기존에 알려진 약물보다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이 적고, 작용 기작이 신규하다고 한다. 인간 세포를 이용하여 ciPSC를 성공적으로 유도하였으며, 심근경색 치료에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심장 전구세포의 유도방법 및 심근세포의 성장촉진 화합물을 개발하였다.

저자
Helios Pareja-Galean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7()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7~41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