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전자폐기물에서 귀금속 회수

전문가 제언

오늘날 세계 전역에서 전자 및 전기기기 공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귀금속의 수요는 매년 급증하는 반면 공급은 심각할 정도로 부족한 상태이다. 더욱이 대부분의 나라에서 광산들은 광석 생산이 줄거나 중단되어 휴광 내지 폐광상태인 경우가 많다. 반면에 노후화된 자동차, 냉장고, 에어컨, TV, PC, 휴대폰, 전자 및 전기기계 등 이들 폐기물에는 엄청난 양의 귀금속이 함유되어 있다.

 

금 광산 금광석 1톤에서 3g 미만의 금이 회수된다. 이에 반해 휴대폰 1톤에는 200-400g의 금이 들어 있을 뿐 아니라 은 3kg, 구리 131kg, 주석 13kg, 니켈 16kg 등 총 16종의 금속이 들어 있다. 또한 자동차는 크롬, 망간, 니켈 등 희유금속이 4.5kg이 들어 있다. 냉장고, 에어컨에 들어가는 모터에는 335g의 희유금속이, TV, PCLCD 패널에는 약 344g의 희유금속이 들어 있다.

 

일본 물질재료연구소에서 전자 및 전기기기 등의 폐기물을 측정결과에 의하면 금 축적량이 약 6,800톤에 이른다고 추정했다. 이는 전 세계 금 매장량인 42,000톤의 16%로 약 220조 원이 넘는 금액이다. 이 밖에 은은 약 60,000톤으로 세계 매장량의 23%, 인듐 약 1,700톤으로 세계 매장량의 38%이다. 일본은 2014년에 이들 전자 및 전기기기 등 폐기물에서 금 143kg, 1,566kg 및 구리 1,112톤을 회수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IT 강국으로서 매년 노후화되는 자동차, 냉장고, 에어컨, TV, PC, 휴대폰, 전자 및 전기기기 등이 폐기물로 급증하고 있다. 이들 폐기물에 대한 유용한 귀금속 회수에 대한 다양한 해외 신기술을 모니터링하고 국내에 사정에 맞는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국내 광산들은 광석의 채진, 매장량 감소 및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많은 광산들이 휴광 및 폐광이 되고 있다. 귀금속의 수요는 매년 급증하고 있고 광산에서 공급은 매우 미약하다. 과거 플라즈마로 폐기물처리 연구가 있었고 적정 고온처리 사례는 없다. 때문에 이들 폐기물에서 귀금속을 회수하는 국내 중소업체에 대한 기술적, 정책적 지원은 자원의 안정적 공급 측면에서 매우 시급하다

저자
R. Cayumil, R. Khanna, R. Rajarao, P.S. Mukherjee, V. Sahajwall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7()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1~130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