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강의 응고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수치해석
- 전문가 제언
-
○ STS304, STS316 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조선, 해양구조물을 비롯한 여러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용접 시에 고온균열(특히, 응고균열)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접 시에 발생하는 고온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례로, δ페라이트상이 정출하도록 용가재를 설계하는 등 많은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명확한 해결책은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본 자료는 응고균열 방지 및 대책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응고모드와 응고형태를 고려한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2상 응고모델을 구축함과 동시에 응고균열감수성(즉, 응고취성온도역)에 미치는 응고모드, 응고형태 및 δ페라이트량의 영향을 수치해석에 의해 규명하였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응고균열감수성에 미치는 응고모드, 응고형태 및 δ페라이트의 영향이 해석되어 그 작용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스테인리스강의 고온균열 현상ㆍ기구를 이해하는데 대단히 유용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응고균열의 발생은 용접응고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금속의 응고현상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대단히 많은 조사와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응고조직, 응고모드?응고형태, δ페라이트 정출, 나아가 이것에 미치는 강재조성과 용접조건 등의 영향에 대해서 규명되고 있다. 그 결과, 많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금속에서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2상이 응고가 되지만 응고모드 천이에 따른 δ페라이트 정출량 뿐만 아니라 응고형태도 변화도 철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 2016년 대한용접·접합학회지에 천은준 등이 기고한 바에 의하면 레이저 용접용 Varestraint 시험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부의 응고균열 거동에 대한 민감도 평가하는 등, 국내에서도 스테인리스강의 응고균열 방지에 대한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316L 스테인리스강의 응고균열감수성에 대한 수치해석을 소개한 본 자료는 스테인리스강의 응고균열감수성이 낮은 강재의 개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OGURA Tomo, ICHIGAWA Shinya and SAIDA Kazuyos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34(3)
- 잡지명
- 溶接學會論文集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97~203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