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 및 토지 이용도와 피복도의 변화가 대기 중 수은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나 토지 이용도와 피복도의 변화는 환경 오염물질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장거리 이동 특성, 대기와 지표사이의 순환과정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들이 환경 오염물질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한 연구결과들은 장기적 환경정책 수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국내에서 전 지구 대기 화학물질 이동모델, GEOS-Chem을 사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O3 CO2의 대기 중 이동을 모사한 연구, CALPUFF모델이나 HYSPLIT 모델을 사용한 대기오염물 이동 연구 그리고 협소한 지역의 대기오염 상황을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사용하여 모사한 연구사례들이 있으나, 기후변화 및 토지 이용도와 피복도의 변화가 국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예측한 연구사례는 없다.

 

앞으로 국내의 장기적 환경정책 수립을 위해 대기 중에서 쉽게 소멸되지 않고 장기간 잔류하는 중금속이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들(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을 대상으로 하여 기후변화가 이들의 환경 내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대기 화학물질 이동 모델에 의한 오염예측결과는 기상 데이터 및 토지 이용도와 피복도 데이터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모델에 적용될 기후 예측모델이나 토지 이용과 피복 예측모델의 선정도 중요하다.

 

GEOS-Chem과 같은 대기 화학물질 이동 모델은 전 지구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국내 지역규모에 적합한 대기 화학물질 이동 모델과 지역적 기후 예측모델을 개발하거나 선진국에서 기 개발된 모델들 중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고 이를 보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기후변화와 토지의 이용도와 피복도의 변화는 환경 오염물질의 거동 에 영향을 주고 토지 이용도와 피복도의 변화가 기후변화를 완화시키거나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지 이용도와 피복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책과 환경정책 수립 측면에서 중요하다.

저자
H. Zhang , C.D. Holmes, S. W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41()
잡지명
Atmospheric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30~244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