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효율 항원 프로파일링으로 항종양 면역표적을 알아낸다

전문가 제언

오래 동안 축적된 증거들에 의하면, 항종양 면역반응들은, 인터류킨-2 치료에서처럼, 전이환자에서 악성질병을 완전히, 혹은 지속적으로 퇴치한다. 최근에는 면역 체크포인트 차단 및 T 세포들의 수지상 세포 활성화와 같은 세포치료로 장기적인 면역반응들을 유도할 수 있다. 종양세포들의 세포용해를 불러오기 위하여 T 세포 작용기들은 표적 항체의 종양발현에 의존한다. 그러나 항종양 반응 중 표적항체들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현재는 기술의 발전과 서열화 데이터의 도움으로 좀 더 효율적인 검색과 종양-연관 항체와 신생항체의 확인의 길이 열렸다.

대부분의 면역 체크포인트들 리간드-수용체의 상호반응으로 개시되기 때문에 이들을 항체로 쉽게 차단하거나 리간드 혹은 수용체들의 재조합 형태로 조절할 수 있다. 세포독성 T-림프구-연관 항체 4 (CTLA4) 항체들은 미국 FDA가 승인한 이 종류의 첫 번째 면역치료제가 되었다. 임상시험에 의하면 세포예정사 단백질 1과 같은 추가적인 면역-체크포인트 단백질들의 차단으로 장기적인 임상반응들을 보이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항종양 효과를 갖는다.

대부분의 종양세포들은 숙주 CD8+ T 세포들이 인식하는 항체들을 발현한다. 임상에서 탐지된 암들은 항종양 면역반응들을 피하여 점차적으로 성장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종양 미세환경의 세포 및 분자특성에 근거하여 광범위한 두 가지의 종양도피 범주를 제안하였다. 하나는 T 세포 감염된 표현형이고 다른 하나는 면역체계 차단으로 면역공격에 저항한다.

국내연구로 서울대학교 종양면역 의과학연구센터의 연구보고서가 있다. 이 연구는 비정상적으로 암세포에서 발현 하는 단백질을 이용 인체의 면역세포들을 자극하고 결과적으로 전박적인 인체의 면역 체계가 암을 인식하여 암을 공격하는 연구를 하였다. 또한 전형적인 화학항암요법과는 달리 암세포에 특정 유전자를 이입 시키거나 세포의 성상을 변형시킴으로 암세포 스스로 인체에 내재되어 있거나 암 백신 등으로 활성화 되는 면역체계에 효과적으로 반응 할 수 있게 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자
Sebastiano Battaglia , Jason B Muhitc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4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92~97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