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3D 프린팅과 입자침출 결합에 의한 이중구멍 미세구조를 갖는 가변 조직공학 스캐폴드의 제작

전문가 제언

 

제작된 조직/장기를 구축할 때 전통적인 제조기술을 사용하여 스케폴드(scaffold) 구조를 제어하는 제한은 한 문제이다. 최근에 맞춤 물리성질을 갖는 2-구멍(dual-pore) 스케폴드를 생성하는 2 구멍 구조의 통합은 조직공학에서 폭 넓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와 같은 스케폴드는 세포부착과 확산을 위하여 높은 표면 영역을 갖는 제2의 무작위 구멍과 결합하여 주위의 영양소/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구조화된 구멍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문헌은 소금침출 프로세스인 PVA (polyvinyl alcohol) 몰드(mould)3D 프린팅과 결합하는 여러 조직공학응용에 사용되는 2-구멍 스케폴드를 제작하는 새 기술을 소개한다.

이 기술은 스케폴드의 무작위 구멍 영역을 정의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구멍구조를 결정하는 제물로 바쳐진 PVA 몰드를 소금 결정체로 채운다. 계층적 폴리머와 교차결합 후에 결합된 PVA 소금침출 몰드는 물에서 분해된다. 이 문헌에서는 2-구멍 스케폴드의 여러 물리적 기계적 성질은 제어 스케폴드와 비교한다. 제조된 2-구멍 스케폴드는 높은 세포밀도를 지원한다. 결론으로 제시한 제조기술은 여러 가지 대형 조직/장기 공학에 적합하면서 빠르고 저렴하며 확장 가능하고 그리고 다른 폴리머와 호환을 가능케 한다.

 

3D 프린팅 기술 혹은 적층제조 가술은 디지털 기술과 함께 30여년의 역사를 갖은 것으로 CAD 기술 표현기법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제는 제4차 산업의 핵심적인 혁신 제조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 문헌은 맞춤형 스케폴드를 제작하는 새로운 제작방법을 소상히 밝히고 실제로 적용한 연구를 한 것으로 반드시 살펴봐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3D 프린팅 기술의 역사는 매우 일천하여 아직까지 이와 같은 3D 프린팅 재료를 위한 스케폴드 구조에 관한 연구는 없다. 3D 프린터를 수입하여 판매하기 위한 사용법 교육과 간단한 제품을 제작하여 판매하는 단계를 넘어 신기한 프린팅 제품제작기술 개발과 프린터 개발을 위해서 가장 민감하고 복잡한 3D 프린팅 재료에 관한 연구에 깊은 관심과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저자
Soumyaranjan Mohanty,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61()
잡지명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C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80~189
분석자
김*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