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 생활 및 산업 바이오폐기물의 스투루바이트 회수
- 전문가 제언
-
○ 글로벌 인구 증가는 인의 지속가능한 공급이 필요하고, 농업 강화를 요구한다. 자연산 인의 매장량이 감소된 이후에, 폐기물 및 잔사에서 인 회수는 특히 지역 기술과 경제를 성장하는 매력적 전망이다.
○ 더욱이 농업이용에 인의 기여는, 폐기물잔사에서 인의 침전 및 처리 전에 배출물의 영양분 부하의 감소 등이다. 본 연구는 스투루바이트 결정화를 중심으로 폐기물에서 인 회수에 발표된 방법에 총합적 리뷰이다.
○ 다양한 종류 폐기물 성분 변수에 근거된, FSI는 폐기물 스트루바이트 생산에 상대적 잠재력을 연구자와 운영자에 정보를 알아내는 안내서로개발되었다.
○ 바이오(유기성)폐기물 혐기성소화로 바이오에너지 생산과 배출되는 소화액 내부에 영양분(질소와 인)의 회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소화액은 하수처리시설에 연계하거나 질소와 인을 회수하기 위해서 스투루바이트 비료를 생산하게 된다.
○ 유기성폐기물 혐기성소화처리 소화액에서 생성된 스투루바이트 비료는강우 이후에도 손실되지 않고 영양염류가 지속적으로 농작물에 공급 가능하여 비료의 비점오염도 개선이 가능하다.
○ 혐기성 소화액의 스투루바이트 형성으로 인의 회수 효율은 90% 이상으로 효과적이나, 질소 회수 효율은 10-20% 정도로 저조하여, 질소 회수율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마그네슘과 인의 공급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는 2016년에 명지대 대학원 권 규태 씨의 “스투루바이트 형성을 통한 혐기성소화액의 질소 및 인 회수 연구”에서 스투루바이트 산도 9.5 상태의 실제 폐수에서 인 제거 효율은 95- 100%로 나타내었고, 질소 제거율은 20% 이하를 나타내었다고 발표한바 있었다.
- 저자
- Sampriti Katak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49()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37~454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