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다단계 압축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의 주요요인은 대부분 인간의 화석연료 사용에 의해 배출된 이산화탄소(CO2)이지만 아직까지는 화석연료의 연소와 CO2의 배출을 분리시킬 수 있는 포집, 저장 및 고정화를 위한 경제적인 혁신기술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CO2의 삭감을 위해서는 CO2를 격리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더 나아가 격리된 탄소를 메탄 연료 또는 유용한 화학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 이 발명은 CO2를 함유한 연도가스 흐름으로부터 CO2를 포집하기 위한 다단계 압축 시스템 및 사용된 CO2 포집 매체의 재생공정에 관한 기술이다. 특허청구권 범위를 보면, 연도가스 흐름 및 비발열 유체 흐름과 같은 가각의 흐름이 순환(loop)되는 압축 사이클을 채용함으로써 공정에 필요한 열 및 포집 매체의 재생에 소요되는 열을 히트펌프 원리를 이용하여 시스템 자체에서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특허를 참고할 경우에는 이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우리 정부는 2008년 저탄소녹색성장 비전 제시와 함께 그린에너지 산업육성 전략의 9대 중점기술의 하나로서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을 선정하였으며, 2009년에는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수립과 함께 2020년까지 발생 예상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0%를 감축하기로 결정한 바가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CCS 관련기술 연구개발사업이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등이 각기 따로 수행함에 따라 사업의 일관성, 지속성 및 효율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범부처적 정부차원의 종합시스템의 구축과 함께 산학연의 공조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 CCS 관련기술의 실용화에는 엄청난 재원의 소요가 예상되므로 R&D 투자규모 및 한계 범주에 대한 심도 깊은 조사, 분석, 평가에 기초한 전략적 기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CO2를 경제적으로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CO2를 유용한 에너지원 및 화학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경제성 및 효율성을 갖춘 CO2 전환방법의 개발, 즉 적은 에너지로 유용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는 고성능 촉매의 개발 및 생성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 저자
- Reliance Industries Limited, et al.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236137
- 잡지명
- US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