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단일 단계 압축 시스템

전문가 제언

지구온난화의 주요요인은 대부분 인간의 화석연료 사용에 의해 배출된 이산화탄소(CO2)이지만 아직까지는 CO2의 배출량을 삭감하기 위한 CO2의 포집, 저장 및 고정화에 관련한 상용화가 가능한 혁신기술의 개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CO2 포집기술은 화석연료의 연소 시스템 또는 연도가스 흐름으로부터 CO2를 포집하는 공정의 적용 위치에 따라 연소후, 연소전, 순산소 연소 및 연소 중 포집기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최근 선도 기술로서 잠재성이 큰 고체 흡수제를 이용한 연소후 건식 CO2 포집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발명은 CO2를 함유한 연도가스 흐름으로부터 CO2를 포집하기 위한 단일 단계 압축 시스템 및 사용된 CO2 포집 매체의 재생공정을 제공한다. 특허청구권 범위를 보면, 연도가스 흐름 및 발열 유체 흐름을 연계하여 연동되는 압축 사이클을 채용함으로써 공정에 필요한 열 및 포집 매체의 재생에 소요되는 열을 히트펌프 원리를 이용하여 시스템 자체에서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특허를 참고할 경우에는 이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국내의 경우, 건식 CO2 포집기술의 개발에는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과 발전 5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두산중공업, KC-Cottrell, KEPCO E&C, 토다이수(주) 등이 참여하여 건식 CO2 포집기술의 핵심기술인 고체흡수제 및 유동층 공정 개발에 성공했다. 남부발전(주) 하동발전본부에서는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CO2를 건식 방법으로 포집하여 정제 및 액화를 거친 제품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동덕산업가스에 2018년 12월까지 매달 60t가량을 공급할 계획이다.

향후 CO2의 포집기술의 확립은 화석자원 고갈우려의 불식과 함께 지구온난화 방지 및 순환형 사회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CO2 포집기술의 산업 적용을 위해서는 현재 개발 중인 기술에 대해서 산업체에서 감당할 수 있는 경제성 및 상용화 규모의 실증을 통한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포집된 CO2를 연료 또는 유용한 화학제품으로 전환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
Reliance Industries Limited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250582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