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체 계면활성제 화장품 조성물

전문가 제언

  

본 발명은 특히 인체와 접촉하여 사용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수천 년간에 걸쳐서 비누는 피부와 의복을 세척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세척제로서 비누의 최초 사용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인 BC 약 2800년에 물, 시나몬오일 및 용존 석회로부터 형성시킨 비누를 사용하여 털로서 제직된 의류를 세척했다. 또한, 이집트인은 개인위생, 의약품용도, 의복의 효과적인 세척을 목적으로 비누 유사물질의 사용을 입증했다.

 

한편, 국내의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에서는 소듐2-메르캅토에탄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했다(WO2016/0137126 A1).

 

이 화장품 조성물은 소듐2-메르캅토에탄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 함유하는 것으로서, 삼투압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추가적으로 멸균 전후의 물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성물, 특히 히알루론산 또는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생체투여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사항 12에서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고체 계면활성제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합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코코암포아세트산나트륨, 라우레스황산나트륨, 라우릴베타인, 라우로일사르코신산나트륨,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술포숙신산2나트륨, 라우레스술포숙신산2나트륨, 코카미드모노에탄올아민, 브롬화세트리모늄, 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불용성 식물섬유, 불용성 과일섬유 혹은 이들의 혼합물과, 합성 계면활성제, 그리고 친수 콜로이드와 같은 고체 계면활성제 화장품 조성물의 성분과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관련기업과 산학연도 고체 계면활성제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서 더욱 많이 적극적으로 연구하여 친환경적이고, 생태적으로 우수한 고체 계면활성제 화장품 조성물의 많은 발전과 성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저자
COSMETIC WARRIORS LIMITED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WO20160170336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2
분석자
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