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산화탄소 전환을 위한 에너지 집적형 프로세스

전문가 제언

이산화탄소(CO2)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에너지 및 화학제품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값싸고 무한정한 탄소자원의 하나이다. 현재 대기 중의 CO2 농도가 약 400ppm으로 많은 양이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대기의 양을 고려하면 그 양은 막대하다. 식물의 탄소동화작용과 같은 원리를 원용하여 CO2를 유용한 화합물로 효율 좋게 변환할 수 있다면 고갈 우려가 있는 석유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풍부한 양의 탄소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발명은 CO2 전환공정의 원료가스로서 대기와 같이 CO2 농도가 낮은 가스 혼합물의 이용 및 CO2 전환반응에서 발열되는 열 및 생성된 액체제품의 응축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CO2 농축단계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 집적형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특허청구권 범위를 보면, 원료가스로서 대기의 이용 및 전환공정에서 발생되는 열의 이용 외에는 특별한 특이사항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향후 CO2의 활용기술은 화학 산업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특허권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도 CO2를 이용하여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CO2의 전환기술로는 주로 전기화학적인 유기합성이나 태양광을 이용한 유기물 합성 분야에 대한 연구가 주축으로서 개미산이나 메탄올 등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하는 기술에 치중되고 있다. CO2로부터 메탄올을 합성하는 연구로는 한국화학연구원의 전기원 박사팀, 한국과학기술원의 강정구 교수팀 등 여러 연구팀에서 수행되고 있다.

향후 CO2의 화학적 전환에 의한 유용한 화합물을 얻기 위해서는 경제성이 있는 신공정의 개발은 물론 기존 공정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 및 반응공정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부가가치가 높은 화학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CO2 활용기술의 확립은 CO2 저감이라는 관점뿐 아니라 화석자원의 고갈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고 우리나라의 산업경쟁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Antecy B.V.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289149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