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RBMK-1500 원자로의 조사된 흑연 선량평가

전문가 제언

흑연은 고속중성자를 감속하는 기능이 있기에 여러 종류의 원자로에서 중성자 감속재로서 사용하고 있다. 조사된 흑연의 폐기물 처분 시에 선량을 결정지을 수 있는 악티니드 동위원소와 14C, 36Cl 같은 장수명 핵종의 문제에 직면해야 한다. 조사된 흑연이 전 세계적으로 25만 톤이나 있어 이를 해체 및 폐기 전략을 결정하기 전에 조사선량을 정확히 평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SCALE 코드는 원자력 안전 분석 및 설계를 위한 포괄적인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코드이다. 이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미국 에너지 부 및 국가 핵 안전국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과 계약을 맺고 1976년 ORNL이 개발한 코드로 40년 이상 사용한 경험이 있는 코드이다.

 

논문에서는 RBMK-1500 원자로의 조사된 흑연에 의해 야기된 총 방사능 선량 평가에 필요한 악티니드 입력 자료를 평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 코드(SCALE 6.1 및 MCNPX 2.7)를 사용하여 약 200년 동안에 조사된 흑연에서 악티니드의 총 방사능에 대한 동위원소의 기여도를 평가한 내용을 소개하는 내용이다. Pu, Am 및 Cm 동위원소의 농도는 ICP-MS로 측정하였고, 특정 동위원소 비율은 알파분광계와 컴퓨터 코드를 이용하여 모사하였다. 조사된 RBMK-1500 흑연에서 흡입 및 섭취의 영향을 확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얻어진 결과는 흑연을 사용하는 원자로의 폐기에 활용될 수 있고 매우 중요하다.

 

국내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선진국형 방사선 방호체계 확보를 위한 한국인 유효선량 평가모델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주도로 개발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국내의 원자로에는 흑연 감속재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그 적용사례가 적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연구로 1, 2호기의 해체가 1997년부터 진행되고 있으며, 약 13톤의 조사된 방사성 흑연폐기물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한국 원자력연구원의 주도하에 해체 폐기물의 감용 및 처분 또는 재활용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저자
R. Plukiene, A. Pluki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300()
잡지명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30~535
분석자
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