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장 마이크로비옴 연구의 유망한 기술들

전문가 제언

 

사람의 장(intestine) 미생물군총은 사람 체내의 여러 집단 중에서 가장 큰 미생물집단(community)이며 여기에는 많은 세균 숫자(1014) 이외에도 다수 세균 종(species)을 포함한다. 이 미생물군총은 비만, 당뇨 이외 일부 암, 알레르기 그리고 면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숙주의 인종과 연령 등 여러 역학적 특성에 따라서 미생물의 구성이 다양하다.

근래 미생물군총에 연구는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는 Pubmed (http:www.ncbi.nlm.nih.gov/pubmed/)에 gut microbiota 등의 검색어로서 찾은 논문 수에서 2,000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미생물군총에 대한 급격한 연구 증가의 원인은 장 미생물총의 질병과의 높은 연관성과 더불어 관련 기술의 급격한발전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소개하는 레뷰에서는 장내 미생물군총 연구를 위한 새로운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장미생물군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현재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T-RFLP) 등 미생물군총의 조성을 분석하는 여러 기술들과 각종 배양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장생태계 내의 방대한 미생물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기에는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next-generation sequencing(NGS) 방법과 배양 기술의 향상으로 보다 많은 데이터의 확보와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서는 유익균(probiotics)이나, prebiotics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들의 결론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가 다수이며 “...일 가능성이 있다”로 끝나는 논문들이 많다. 앞으로 새로운 기술들이 도입되어 보다 많은 데이터에 근거하여 분석하는 경우, 장미생물군총에 대한 연구 결과들에 대한 결론이 보다 확실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마이크로비옴에 대한 물리화학적 분석 결과와 유전자들의 표현에 의한 기능적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첨단 기술에 의한 장미생물군총의 연구는 많은 의문을 풀(unlock)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
Jason W. Arnold, Jeffrey Roach, M. Andrea Azcarate-Peri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4(11)
잡지명
Trends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87~901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