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Tau 단백질의 신경독성과 동물모델에서의 해독기전

전문가 제언

알츠하이머병(AD)은 치매 중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질병이다. 대부분의 경우 AD65세 이상의 연령에서 진단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3천만 명의 환자가 이 질병으로 고생을 하고 있다. 2050년에는 전체 인구에서 85명 중 하나가 이 병에 걸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금 현재로는 이 질병의 치료가 불가능하며 이 질병은 진행 될수록 증세가 악화되어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이들 환자의 가장 흔한 직접 사망 원인은 폐렴과 탈수이다.

 

AD의 발병 원인은 아직 정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1991년에 발표된 amyloid 가설에서 Aβ(beta-amyloid) 축적이 이 질병의 근원적 원인이라고 가정하였다. 2002년에는 Tau 가설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Tau 단백질의 이상이 이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모델은 Tau 단백질의 과다인산화가 일어나면 신경세포 안에서 신경원섬유엉킴(neurofibrillary tangles: NFTs)을 형성하고, 세포의 미세소관이 붕괴되어 신경세포 안에서의 수송체계가 작동을 못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최명철 교수 연구팀은 2015년 말 Tau 단백질이 신경세포 미세소관 사이의 힘을 조절하는 작동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미세소관(microtubule)은 신경세포인 뉴런에서 세포 물질을 수송하는 튜브 형태의 단백질로 굵기가 25 nm에 불과한 '세포 속 고속도로'이다. 타우 단백질은 미세소관을 결합시키고 붕괴를 막아 신경세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알츠하이머병은 타우가 분리된 미세소관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면서 신경세포 간 신호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연구팀은 지금까지 그 기능이 베일에 싸여 있던 타우 단백질의 돌출 영역이 미세소관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는 범퍼 기능을 해 안정성을 유지하는 조절 장치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이 결과는 앞으로 타우 단백질과 미세소관 사이의 구조적 상호작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등의 퇴행성 뇌질환을 극복하는 열쇠를 찾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Lars Kru¨g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6()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2~58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