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박동수 모니터링을 위한 초저전력 웨어러블 기기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친환경, 저전력 특성이 있는 LED 광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나타나는 심장박동수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LED 광원을 이용함으로써 혈류측정을 위한 빛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점과, 초저전력 특성이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압전필름(그림1의 14)과 광신호 송수신모듈(그림1의 32)의 장착방식에 따라 손목밴드형과 목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이 기술은 국내 웨어러블 기기제조사의 생체신호 측정 및 송수신 기술분야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심장박동수와 심장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은 심전도(ECG)를 사용하여 생체전위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신체에 연결된 전극이 심장조직의 전기적 활동으로 발생한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최대 10개의 전극을 가슴과 팔다리에 연결하는 전문적인 진단장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웨어러블 헬스 캐어 기기들ㄹ이 확산되면서 웨어러블 기기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심장박동수 측정의 신기술은 생체전위를 측정하지 않으면서 심장정보를 수집하는 광학기술인 PPG(photo-plethysmo-graphy)로 발전하고 있다. PPG 기술을 사용하면 손목시계, 팔찌, 귀걸이, 목걸이 안경 헤어밴드 등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를 제품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특허기술에서도 마찬가지로 손목밴드(그림1의 12) 대신 다른 형태로 하우징을 변형하여 목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구조를 변경할 수도 있다.
○ 최근 들어 다양한 스마트 기술(음성/제스처/이미지/생체인식 기술, 지능형 인터페이스 기술, 디스플레이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 모바일 응용 및 SW기술 등)을 결합한 웨어러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IDC의 보고에 의하면, 2015년 글로벌 웨어러블기기 시장은 손목형/안경형 제품비중이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2.3배 증가한 4,570만대를 기록하였다. 이에 대규모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한 특화된 웨어러블 전략이 필요하다.
- 저자
- INTEL CORPORATIO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77104
- 잡지명
- PCT 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0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