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조류와 유우분 슬러리 혼합소화처리 바이오가스 생산

전문가 제언

유기물 부하율을 증가 하는 가운데, 두 개의 갈색조류 혐기성 단일소화 및 해조와 유우 분 슬러리 혼합소화를 장기간 기술적 가능성을 조사하는데 있었으며, 두 개 해조류 중에 하나는 천연해조(L. digitata)이고 다른 하나는 양식해조(S. Latissima)이였다.

혼합소화에서 천연해조의 낮은 혼합비(33.3%)에 비하여, 혼합비(66.6%)가 높으면, 소화조가 보다 효율적 조건, 유기물부하율( OLR: 5kg VS m?³d?¹) 과 비 메탄수량( SMY: 232 LCH₄kg?¹VS)에서 운전 되었다.

양식해조 66.6%와 유우 분 슬러리 혼합소화에서 비 메탄수량(252 LCH₄kg?¹VS)이 높았고, 유기물 부하율(4kg VS m?³d?¹)은 낮았다. 천연 해조와 양식해조 단일소화 최적조건은 유기물부하율(4kg VS m?³d?¹)에서 효과가 있었으며, 천연과 양식 해조류 소화과정에서 염화물 농도가 증가 하였으나, 작업에 해롭지는 않았다.

다 영양 입체 양식시스템( IMTA: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system)은 사료공급 양식생물과 이들이 배설하는 해조류와 유기물을 섭취하는 수산생물을 동일한 공간에 친환경양식기술이며, 여기서 발생되는 수산 바이오매스 폐기물과 가축분뇨 혼합소화 에너지와 소화액 영양분이, 장래 스마트시티의 식물공장과 도시농업에 활용이 기대된다.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스마트 팜(smart farm)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바, 센서와 네트워크 중심의 식물공장 확충에 있다. 바이오매스폐기물에 의한 바이오가스의 식물공장 에너지이용 및 혐기성 소화액의 식물공장 내에 작물 양액재배 이용 등에 관한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바이오매스폐기물의 실효성 있는 바이오에너지 및 소화액 살균과 액비 이용은 농어촌과 도시주변 식물공장 및 시설원예 작물재배에 활용 가능한 지역에 바이오매스 타운 육성과 에너지와 양분의 회수 개발 모델이 접목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저자
Muhammad RizwanTabassum,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219()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8~238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