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위 폐기물의 TPAD처리 자원회수

전문가 제언

소위(cattle paunch)는 주로 풀과 곡물의 소 사료가 부분 소화된 폐기물로서 소 도축장에서 20 - 30% 유기물과 40 - 50% 질소 폐기물이 생성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의 소위고형폐기물에서 메탄에너지와 영양분 을 회수하는 TPAD와 스트루바이트 결정화처리를 개발하였다.

TPAD 시설에 최대로 지속가능한 유기물부하율은 사료고형물농도가 약 3%에서 1-1.5kg CODm?³d?¹ 인데 이것은 처리과정은 생물이 아니고 플랜트 기술에 제한을 받고 있었다.

플랜트에서 유기고형물파괴(60%)와 메탄생성(230LCH₄kgVS?¹) 달성은 실험실 메탄생성잠재력 실험에서 예상된 수준과 비슷하였다. 분석한 모델은 회분식 실험변수에 대한 파일럿 연속 규모 변수에 차이는 큰 차이가 없음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TPAD처리는 평균 처리시간 21일 동안에 높은 수준의 고형물파괴 처리강화도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파일럿 결과는 건물 톤당 7.8 GJ 바이오에너지와, 1.8 kg P 그리고 1.0 kg N의 자원회수가 가능하였다.

일반적으로 유기성폐기물 혐기성 소화처리 효율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전처리 공정으로서 이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이 있으나, 에너지수지, 환경지속가능성, 비용분석 등의 면에서 고열원역(60℃내외) 온도로서 전 처리한 후에 중온 혐기성 소화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세계는 가축분뇨와 음식쓰레기의 메탄발효 효율을 증가하기위해서 가축분뇨와 음식쓰레기 혼합물의 고온전처리 중온 혐기소화처리(TPAD)하여 바이오에너지 및 소화액 영양분 회수, 소화액미생물연료전지, 소화액 미세조류배양 등의 자원화 회수 실용화기술이 개발 단계에 있다.

우리나라는 바이오매스폐기물 TPAD 실용화 사업이 아직 보급되지 않고 있으나, 조만간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며,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저자
Paul D. Jense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1()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2~80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