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기기의 에너지 하베스팅 및 사용자 인증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특허기술에서는 두 가지 핵심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에서 버려지거나 사용하지 않는 소량의 전기에너지를 재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과, 웨어러블 기기 사용자의 가장 특징적인 걸음걸이를 모니터링 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웨어러블 기기를 비롯한 모든 스마트 미디어기기의 가장 취약한 단점(전력소비, 사용자 인증/보호)을 동시에 해결한 기술적 및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이는 국내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나 콘텐츠 서비스 산업 분야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기기 구동 시 발생된 소량의 에너지를 변환 수집하는 기술, 소량의 에너지를 축척?저장하는 기술, 소량 에너지의 합리적인 사용을 위한 전후처리 기술로 구분된다. 에너지 절약 노력과 함께 친환경 에너지로서 미래의 새로운 에너지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특허기술과 같은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을 밴치마킹 하여 국내 스마트기기의 배터리 제조기술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웨어러블 스마트기기의 글로벌 시장은 특히 스포츠와 피트니스 분야에서 2016∼2021년까지 긍정적인 시장전망을 예상하고 있다. 2021년에는 의류/헬스케어 분야가 패션/엔터테인먼트 분야를 제치고 가장 큰 시장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건축분야에서도 발열 바닥재를 중심으로 큰 성장이 예상된다. 섬유-IT 융합제품의 가장 큰 시장은 북미시장이 될 것이며, 유럽에서는 스포츠/피트니스 분야가 우세하다. 아시아권에서는 일본, 한국, 중국이 매스 마켓으로 자리 잡고 있다.
○ 전 세계적인 저성장 국면을 타파하는 웨어러블 스마트기기의 견실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술과 시장의 제약요소에 대한 심층분석과 전략구상이 필요한 시기이다. 국내 소재·부품, 플랫폼, SW 등 개별 산업이 독창적이고 효율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저자
- INTEL CORPORATIO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85730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6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