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구리 나노선의 상온 표면개질과 투명전극 등에의 용용

전문가 제언

두 물질이 서로 접촉할 때 그 계면의 상태는 시스템의 특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본 분석물에서는 최근 차세대 플렉시블 투명전극의 후보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구리 나노선의 표면처리를 통하여 성능향상을 꾀하고자 하였다.

 

비교적 접근이 용이하고 간편한 질산은/구연산 용액(AgCA)을 사용하여 구리 나노선의 표면세정은 물론 구리 나노선의 표면에 은 나노입자를 도입함으로써 구리 나노선 사이에 보다 효율적인 전도성 통로를 형성시켰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는 전극의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아쉬운 것은 본문에 기술되어 있는 실험결과에 대한 신뢰성이다. 왜냐하면 앞뒤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본문 28832 쪽 왼쪽 칼럼 하단에 서술되어 있는 “Transparent electrodes with high opto-electrical performance(47 Ω sq-1 @89.1% T with FoM of 67.5)..”와 그림2-(a)의 내용이 서로 다르다.

 

그림을 잘 살펴보면 광투과율(T)89-90일 때 시트저항은 47이 아니라 거의 60에 달하고 있다. 이 결과로 계산하면 성능지수 FoM도 작아져야 한다. 혹시라도 본 분석물의 내용을 적극 참조하고 싶다면 이 부분에 대한 논문저자의 해명을 미리 받아야 할 것이다.

 

최근 구리를 차세대 전극으로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서서히 부상하고 있지만 그 특성에 있어서 은을 따라갈 수는 없다. 단지 값이 싸다는 장점을 부각시켜 보자는 것인데 향후 이 분야 기술진보를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이다. 가성비는 실용화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본 분석물과 유사한 내용의 연구는 찾을 수가 없지만 국내에서도 차세대 광전기기에 응용될 수 있는 플렉시블 투명전극에 대한 관심은 어느 누구 못지않다. 은이나 그래핀을 응용하는, 다방면의 접근을 통한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본 분석물의 내용이 그러한 연구에 약간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저자
Xiao W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8()
잡지명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8831~28837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