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유 및 주스 성분의 자외선 차단 가능성

전문가 제언

 

선스크린은 자외선(UV)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흔히 쓰인다. 유기 선스크린의 어떤 성분은 사용 중에 피부를 통과하는 것이 밝혀져, 이들 화합물에 대한 독성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식물유와 열매/채소의 주스가 일반 자외선 차단제를 대체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저자들은 여러 식물유(카놀라유, 시트로넬라유; 코코넛유, 올리브유, 콩기름, 비타민 E, 알로에 베라) 및 열매와 채소(아세롤라, 사탕무우, 포도, 오렌지색 당근, 자주색 당근, 산딸기) 주스의 생체외 광흡수능(absorptivity) , 자외선 차단성 등을 검토하였다. 여러 시료 중 자주색 당근의 광 차단성이 기존 차단제보다는 부족하지만 고농도로 첨가하거나 기존 차단제와 병용하면 사용가능하다고 결론지었다. 더욱이 이들 시료는 항산화성을 가지고 있어,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 억제와 광노화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장품 특히 기능성 화장품의 성분으로써 천연 물질을 사용하려는 연구개발이 국내외 업계의 추세이다. 화학성분을 천연 물질로 대체하려는 국내 연구와 특허출원도 다수 있다. 최근 화장품 성분에 대한 국제특허 출원 동향을 보면 우리 화장품 업계의 연구활동이 매우 활발하다.

 

국립농업과학원 주관 장환희 연구팀의 국가R&D 연구보고서 농산물 유래 식물성 자외선차단 화장품 신소재 실용화 연구는 농산물 유래 자외선 차단 식물성 소재를 180여종 확보하여 그 기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자외선 차단 및 흡수능 등을 평가하였다. 송이버섯 줄기세포 추출물과 황금추출물 등 개발 소재에 대한 안전성을 세포독성실험과 임상 자극테스트를 통해 평가하였다. 그런데 180여종의 소재 목록에는 본 연구의 소재(13) 중 국내에도 풍부한 당근, 포도, 콩기름이 포함되지 않은 것이 흥미롭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내수 위주에서 수출 위주로 급성장하고 있다. K-뷰티 이미지를 확립하려면 기술과 정책 모두 혁신이 필요하며, 지속성을 가지려면 소재의 개발과 안전도 한 차원 발전해야 한다.

저자
S. Gause, A. Chauha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38()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54~363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