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선된 내마모 단조 금형 제조 방법

전문가 제언

합금강의 표면경도, 내마모성 및 피로강도 등의 향상을 얻기 위한 질화법은 19071914년에 러시아의 N. P. Chizhevskit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그간 많은 과정을 거쳐 질화층의 취성을 감소시켜주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 등이 1967년경 서독의 Klockner-Ionon사에 의하여 독점적으로 사업에 이용되었다.

 

질화법은 활성질소(발생기 질소라고도 함) 원자가 강중에 확산되어 질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결합된 질화철과 합금원소 (Al, Cr, Mo, W, V )의 원자가 결합하여 미세하고 견고한 질화물 Cr2N, CrN, AlN, Mo2N, WN, VN 등이 기지에 석출되어 격자간 비틀림을 일으켜 급냉하지 않아도 경도가 매우 높아지는 것이다.

 

질화처리한 표면조직은 화합물층(Fe2-3N)과 확산층 (AlN, CrN )으로 구성되며, 표면층에 생성된 화합물층은 매우 경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제거하여 쓰기도 한다. 필요한 경우 매우 얇은 화합물층(25μm)만이 요구 되며 두꺼울 경우 균열이나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질화처리하여 표면 경도를 높이고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질화강이 생산되고 있다. 질화강에는 Al-Cr-Mo, Cr-Mo, Cr-Mn-V, 석출경화계 등이 있으며, 이중 알루미늄계 Al-Cr-Mo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여기에는 알루미늄이 0.701.20%함유되어 질화처리하여 실린더 라이너, 유압기기, 펌프부품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구강은 열간용 공구강 STD61(AISI H13), STD6(AISI H11), STD62(AISI H12)와 냉간용 공구강 STD11(AISI D2), STD1(AISI D3), STD2(AISI D6), STD12(AISI A2) 등이 생산 판매되고 있으나 질화 처리용 공구강은 아직 생산과 연구가 없는 것 같다. 이 자료는 국내 금형 공구강 발전을 위하여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Carl P. Mclean, William G. Biery, John R. Paules, Philip Nash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US20160271744
잡지명
U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