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정밀 위치결정의 최신기술 트렌드와 이용 동향

전문가 제언

공작부품을 요구하는 상태 즉 설계 치로 만들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공구는 물론이지만, 가공용 기계 장치는 공작물을 설계치가 요구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에 사용되는 장치를 위치결정 장치라 한다. 위치결정 장치는 가공용으로 만이 아니라 공작부품이 요구하는 형상과 크기로 만들어 졌는지를 측정 및 검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공작부품의 3차원적 형상과 치수(크기)를 조사하거나 또는 그 재질의 양?불을 조사하는 것이 측정이다. 측정(measurement)이란 주로 그의 형상, 치수를 여하한 방법으로 재서 이것을 수치적으로 정하는 것이며, 계측(Instrumentation)이란 스트레인, 스트레스, 전압전류, 저항 등 물리량을 재서 그 크기를 수치로 표시하는 것이다. 최근 이들 측정이나 계측에 위치결정 장치가 많이 사용되며, 위치결정 장치는 공작부품이 요구하는 측정?계측의 정밀도를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위치결정 장치의 설계에 있어 요구하는 정밀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정밀도의 기준을 어떻게 정할 것인지에 대하여 의론할 필요가 있다. 즉 범용 위치결정 장치, 정밀 급 위치결정 장치의 정밀도는 어느 정도인지, 또 초정밀 급 위치결정 장치의 정밀도는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의 기준이 필요한 것이다. 범용 위치결정 장치로도 충분한 것을 초정밀 급 위치결정 장치로 설계제작 한다면 불필요한 시간과 코스트의 낭비일 것이다. 그래서 이의 기준을 정함에 있어 일본의 위치결정 장치설계자, 또는 사용자들에게 다년간에 걸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기준을 정한 보고서가 있다.

보고서에 의하면 1μm를 정밀 급, 0.01μm를 초정밀 급으로, 분해능의 한계는 0.1nm~10nm로 예측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위치결정 장치의 설계에 있어 고객 요구 사양에 대응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 위치결정 장치 설계자들에게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서는 이런 보고서는 아직 보고되고 있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Takaaki OOIW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60(11)
잡지명
機械設計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13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