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공급 원료로서의 유기성 도시고형폐기물(MSW)과 재정적 개연성 분석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통합적 해법에 의해 유기물 MSW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에 대한 재정적 실행 가능성을 조사 한다. 도시폐기물은 환경오염으로 진행되고 지방자치에 고비용을 낳고 있다. 석유의 비재생적 성질에 관한 문제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1900년대 디젤엔진이 개발되었지만 화석연료 고갈은 증대되고 있다.
○ 그러나 바이오디젤 생산은 재생가능 자원으로 번창하는데 제한에 직면해 있다. 미세조류와 농장정비로부터 바이오데젤 생산은 추가적인 이익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생산비는 갈론 당 20 달러에서 30 달러로 고비용으로 재정적으로 실행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방법론은 재정지표 해석을 통해서 공장이익을 평가할 수 있는 재정모델 개발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 형태는 NPV방법과 IRR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 VFA를 변환한 OFMSW에 대해 모델은 2일 간에 13.4g/g를 얻는다고 가정한다. 재정분석과 연관 있는 재정비용과 레버리지 가정은 요약하면, 50% 레버리지, 년 간 7.22% 재정비로 10년 사체만기 그리고 앞으로 6년 내에 2.0X순 사체/EBITDA 비율이다. 토지 및 건물 임차비는 ISBL 및 OSBL의 년 간 1.5%로 추정했다. 수리 및 정비 비는 년 간 총 자본비의 1%-2%로 추정했다. 평균 전체 법인과세는 세금 가능 수익의 24.08%이다. 분석 결과 바이오디셀 판매는 리터당 1.47 달러이고 U.S. 걸프 해안 가격을 제외하고는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의 이 분야 장차연구는 VFA와 조합한 다른 자원으로부터 바이오디젤생산의 재정적 실행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다. 공급원료로 글리세롤 사용은 특히 관심을 가질 수 있다. MSW로부터 높은 부가가치 화학물 생산은 바이오디젤보다 더 이익을 가져 올 수 있다. MSW-VFA 기술은 폐기물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부가가치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다. 채소, 미세조류 및 기타 유기물로 바이오디젤 생산 단가를 염출하여 화석연료 디젤과 단가를 비교해 보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 저자
- Andre? Gaeta-Bernard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86()
- 잡지명
- Renewable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422~1432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