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T-Mg 복합재료의 제조와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주는 CNT의 효과
- 전문가 제언
-
차량 및 우주·항공산업에 고강도 경량 구조재료의 수요증가에 따라 Mg합금에 강화제인 SiC, Al2O3, Ti 및 탄소나노튜브(CNTs) 등을 첨가한 복합재료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 여러 강화제 중에서 가장 높은 강도를 갖는 CNTs가 가장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CNTs를 기지금속에 얼마나 균일하게 분산시키나 하는 것이다. 기지금속 내에 CNTs의 균일분산을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수행되었으나 아직도 실용성 있는 균일 분산 방안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 최근 주방 상태 AZ31합금에 강화제인 CNT를 균일 분산시키기 위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즉, 금속Mg분말에 CNTs를 습식코팅 후 괴상으로 압축한 것을 압출한다. 이 압출재를 AZ31합금의 용탕에 투입한 후 주조된 CNT/Mg나노복합재료를 압출한다. 이렇게 제조된 CNT/Mg나노복합재료의 항복강도와 연신율이 각각 270MPa와 22.7%로 AZ31합금의 특성보다 월등히 우수하여 이 방법이 CNTs를 금속나노복합재료 기지에 균일하게 분산 시키는 방법중 하나로 소개되고 있다.
○ 또한 고가의 CNT대신, 평균 직경 5~10μm의 20~40개 그레핀 판으로 구성된 그레핀 나노판상(Graphene nanoplatelets, GNPs)은. 부피에 비하여 표면적이 매우 넓으며 CNTs와 비교하여 저렴하다. GNPs로 고분자 복합재료를 강화시킨 연구가 있고 또한 Mg-6Zn합금을 GNPs로 강화시킨 연구 보고도 최근 발표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순도99,9%의 ~150 μm Mg분말을 1 wt% CNT를 함유한 이소프로필 알코홀로 코팅, 무수 에타놀로 세척, 건조 후 플라스마소결된 분말을 봉상의 빌릿으로 제조하는 순서로 처리한다. 이 빌릿을 압출하여 제조된 CNT/Mg복합재료는 CNT가 분쇄됨이 업이 Mg분말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 연구는 경량고강도 구조용 Mg복합재료 개발을 위한 중요한 결과로 중국에서 최근 활성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고분자재료기지에 CNT를 첨가한 연구를 KIST완주분원에서 하고 있으나 금속에 적용사례는 아직 보고된 것이 없다. 국내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 저자
- G.Q. Han, J.H. Shen, X.X. Ye, B. Chen, H. Imai, K. Kondoh, W.B. D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181()
- 잡지명
- Materials Lett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00~304
- 분석자
- 남*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