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한 생 목초 저장에서 중요한 파라미터

전문가 제언

국내 사일로저장은 1965년 가축사료용 곡물을 수입하면서 저장 및 관리기술이 정착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사료용 곡물가격 상승으로 인해 이를 대체하기위한 방안으로 생목초의 저장기술을 개발하면서 최근에는 사일로에 젖산 박테리아로부터 생산된 젖산을 첨가제로 사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발효요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에 반하여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생목초의 사일로저장기술은 아직 초보단계이다. 

 

  ○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은 크게 비재생원과 재생원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개발 국가에서는 바이오매스를 직접 혹은 전환에 필요한 설비기술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 혐기성소화와 같은 미생물적인 프로세스는 특히 1970년대 걸프 전쟁이 일어났든 에너지위기 이래 새롭게 주목을 받아왔다.


  ○ 혐기성소화는 복합적이고 자연적이면서 또한 미생물기구의 복합작용에 의해 여러 가지 중간체를 거치면서 유기혼합물을 소화하여 메탄과 CO2로 전환시키는 프로세스이다. 박테리아의 상호 의존은 혐기성프로세스의 주 역할이 되며 1단계에서 유기물 속의 휘발성 고형성분은 산 형성 박테리아에 의해 지방산으로 전환되고 2단계에서 이의 산은 메탄형성 박테리아에 의해 바이오가스로 전환된다.

   

  이 글에서 발효흥분제와 억제제에 초점을 맞춘 효율적인 첨가제 도출은 최근 사일로저장 연구자들에게는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되었다. 어떻든 지금까지의 첨가제는 목초 사일로저장에서 단지 메탄잠재력 보존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 것이 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약간의 증거들은 특수조건 하에서의 사일로저장이 저장 손실은 인정되어도 메탄 잠재력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저자
Ruben Teixeira Franc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94()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4~104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