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혐기성 막 바이오 반응기에서 바이오가스 생산의 문제

전문가 제언

유엔은 2025년 이면 지구촌 전체 인구의 절반인 27억 명이 담수부족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그 동안 수처리 막 시장은 다우·니코덴코, 도레이, GE, 지멘스 등이 독점하였으나 우리나라도 1994년 최초로 RO 막 개발에 성공하여 최근 미국, 호주, 싱가포르 등에 수출하면서 선진국과 경쟁하고 있다. 현재 RO막 부문에서 시장 점유율 10%를 차지하고 있어 앞으로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 산업폐수의 고율 처리는 기술적으로 고효율의 유기물 제거, 에너지회수 및 과잉 슬럿지 발생 감소와 같은 많은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고율 혐기성처리의 성공은 효율적인 SRT(solids retention time) 및 HRT(hydraulic retention time)등 반응기 내 성장이 느린 메탄 박테리아의 체류에 달려있다.


  ○ 가장 최근 개발된 혐기성처리기술은 유출수로부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는데 막을 사용한다. AnMBRs(anaerobic membrane bioreactors)는 바이오매스의 충분한 체류와 탁월한 처리효율 때문에 고형분과 병원균이 없는 고품질의 유출수를 제공하게 된다. AnMBRs는 미생물 군을 특별하게 잔류시킬 수 있어 폐수중의 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 글에서 AnMBR 기술은 앞으로 친환경 바이오프로세스로서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많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 진전된 기술로서 AnMBRs기술을 혐기성암모니아산화, 역학적 막, 막 증류와 같은 많은 새로운 기술과 결합할 경우 고 품질 바이오가스 연료를 생산할 수 있어 큰 관심과 매력을 갖게 될 것이다.

저자
Cheng Che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98()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0~134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