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감(persimmon)과 실 폴리페놀의 구조와 생리활성 기능

전문가 제언

 

 

 

 

감(Diospyros kaki Thunb)은 감나무과에 속하고 학명 Diospyros의 dios는 신을, pyros는 곡물을 의미하여「신 같은 음식」이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 한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재배되고 전 세계의 생산량은 450만 톤으로 한, 중, 일 3개국이 90%를 차지한다.

 

감은 주로 생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다른 과실처럼 주스나 잼 등의 가공품에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생식이외의 감의 이용은 예부터 청주 청징제, 방부제 등으로 이용된다. 이것은 감 타닌의 강력한 타닌질 응고작용을 이용한다. 또 불용성의 강인한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이나 천, 어망의 염료나 칠기의 밑칠(초벌)로도 이용되고 있다.

 

감의 떫은맛은 풍부히 함유된 polyphenol(타닌, 종합형 타닌)에 기인되고 떫은 감이나 미숙한 단감에는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입으로 들어와 혀와 구강점막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강한삽미(수렴미)를 나타낸다. 성숙한 단감, 또는 탈삽시킨 떫은감(곶감)에서는 이러한 폴리페놀이 불용화 되어 삽미(astringency)를 느끼지 않기 때문에 맛있게 먹을 수 있다.

 

감의 polyphenol 성분은 포도, 사과, 카카오 등에도 함유되고 항산화작용을 비롯한 혈압저하작용, 혈당치상승억제작용, 항암작용, 관동맥성심질환개선 작용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본고는 혈당상승억제작용 검토로 감 폴리페놀이 소화관내에서 당질의 소화와 흡수를 억제시킴으로써 식후 혈당치 상승억제효과를 동물실험과 임상실험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국내 감에 관한 연구는 1970년대 농촌진흥청과 경북대에서 탈삽과 통조림가공연구가 있었고 2000년대 감 말랭이 제조, 냉동홍시, 감식초등의 제조 가공 연구는 있으나 감 타닌의 혈당상승억제 생리활성 효능 연구는 없다.

 

금후 감의 식품기능연구는 완전한 in vitro in vivo연구에 의해 그 작용 메커니즘을 해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실용화는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이나 기호성도 고려하여 장기간 연구개발이 필요하고 지역특산품은 지역의 활성화에도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Takashi Kometan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63(7)
잡지명
日本食品科學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31~337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