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 중의 스테비오사이드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A 분석법

전문가 제언
 

스테비오사이드(SS: StebioSide)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A(Rebaudioside: RS)는 국화과 식물 스테비아의 잎에서 얻은 기존 첨가물 스테비아 추출물의 주성분으로 감미도가 설탕의 200~300배인 천연 감미료이다. 최근 건강 지향이 고조됨에 따라 감미료로 다양한 식품에 사용되며, 특히 설탕 대체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감미료로 식품에 사용한 경우에는 식품표시 의무가 있어, 시험 검사를 하는데 SS 및 RS의 빠르고 간편한 분석법이 요구되고 있다. 현행 식품위생 검사지침에서는 시료를 물로 직접 추출한 후, 고상 추출하여 정제하고, TLC에 의한 정성 분석법으로 되어있지만, 정량에 대해서는 해설 부분의 그 외의 시험법에 소개되는 정도로, 다양한 식품에 적용함에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는 시험법이다.

 

식품 중의 스테비오사이드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개량된 분석법은 먼저 투석에서 투석액에 메탄올-물 혼합액을 이용함으로써 시료의 팽윤을 억제하고, 유분(油分)이 많은 식품에서는 투석 튜브에 충전이 용이하게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가온하면서 진동을 추가해서, 투석 시간을 48시간에서 2시간으로 대폭 단축시키는 방법이다.

 

박철범 등의 스테비오사이드의 13주 반복투여 독성시험 및 독성동태시험(2006), 이현준 등의 LOHAS 지향 스테비아 차와 축산용 프로바이오틱스 개발(2008), 박남종 등의 고감미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의 감미질 개선 등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감미료들의 빠르고 간편하고 정확한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관한 우선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식약처는 식품첨가물로 관리되고 있는 605개 품목 중 중점 관리가 필요한 보존료 등 93개 품목에 대하여 사용실태, 국내외 안전성 평가 결과 등을 검토하여 기준?규격을 재평가 중인데, 2015년에는 표백제 6품목, 2016년에는 감미료(스테비오사이드 포함) 등 20품목, 2017년에는 유화제 등 21품목, 2018년에는 산도조절제 등 21품목, 2019년에는 착색료 등 25품목에 대한 기준?규격 재평가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저자
Sumiyo Yamamoto, Shoichi Tahara, Mikio Sugiki, Hiroyuki Miyakaw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57(5)
잡지명
食品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5~159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