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섬유 생산-섬유 공장에서 청정 생산 평가 생태 효율성 분석연구
- 전문가 제언
-
○ 섬유산업은 집중적인 자원(물, 에너지 등)을 이용하고 특히 염색가공공정에서 염료와 다량의 화학물질을 이용함에 따라 섬유염색폐수가 주요 환경우려로 되어 청정생산이 섬유공정에서 부각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섬유생산 : 섬유공장에서 청정생산평가/생태효율성 분석연구”를 주제로 하는 본 연구는 통합오염예방억제 및 산업배출지침에 따라 청정생산평가조사를 수행하고 섬유공장의 기술적/환경적 성과를 평가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및 환경적 성과와 자원절감이 최상가용기법(BAT)의 실행으로 확인되었고, 이 평가는 제시된 22개 BAT가 미래에 실행되면 물소비, 에너지소비, 화학물질소비, 폐수유량, 화학적산소요구량부하, 연도가스배출과 고형폐시물생성의 감축이 실현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섬유생산으로 공장의 기술적, 환경적 및 경제적 성과가 향상되었음을 강조한다.
○ 섬유폐수는 사전에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하며, 생산공정에서 높은 열에너지수요와 집중적인 화학물질 이용은 섬유산업의 다른 오염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환경보호의 개념이 “오염억제”라는 사후처리접근방식에서 “오염방지”라는 사전예방접근방식(또는 청정생산접근방식)으로 이동하고 청정생산/생태효율성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생산이 중요해지고 있다. 호주 등 주요국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청정생산/생태효율성전략이 수립, 시행되고 있다.
○ 지속가능한 생산은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자원의 효율적 이용, 유해물질의 사용과 폐기물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축하는 활동으로서 친환경적 기술개발, 환경경영이 중요한 요소이며,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청정생산/생태효율성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생산이 필수적이다. 국내에서는 그간 청정생산/생태효율성제고를 지원하는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그 기술개발이 활성화되었으나 핵심기술분야가 선진국의 20-30% 수준이다. 그러므로 청정생산/생태효율성에 의한 지속가능한 (섬유)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청정생산/생태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이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조치가 필요하다.
- 저자
- Emrah Ozturk,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6
- 권(호)
- 138()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48~263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