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센서에 기초한 생합성경로의 엔지니어링

전문가 제언

 

 

이 논문은 생물센서를 이용한 생합성 대사경로를 밝혀 생물센서를 이용한 의약품과 플라스틱같은 유용물질 생산 및 효율 증진을 위한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비싸지 않은 재생자원으로부터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것은 생물학적인 복잡성 때문에 매우 어려운 문제다.

 

유전적 변이체를 설계하고 제작하는데 있어서의 발전으로 각각 약간 다른 대사 설계를 가진 수십억개의 세포를 빨리 생산할 수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설계의 질을 측정하는 능력은 크게 뒤떨어져 있다.

최근의 연구는 유전적으로 인코드된 생물센서의 사용을 통해 세포가 성공적으로 화합물을 생산을 할 수있게 해주고 있다. 새로운 엔지니어링 분야가 생물센서의 창조와 적용을 도와주고 있다. 생산성있는 세포를 동정하기위한 선발 및 스크리닝에서 수행된 생물센서는 생명공학적인 새로운 발전의 시대로 길을 열어주고 있다.

 

대사산물 생산목표를 위한 최고 수준의 설계가 전통적 대사체 측정기술이 아닌 스크리닝이나 선발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면 수백만개의 설계가 빠르게 평가될 수 있다. 이것은 유전적 부품의 최적의 조합이 각각의 개별부품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이 없이도 결정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가장 중요한 생물센서의 특징은 분자 특이성이다. 생물센서에 의한 대사 엔지니어링이 가능하려면 생물센서가 표적분자에 이용될 수 있어야한다. 다행히 세포내 대사산물 농도를 감지하고 이에 반응하는 다양한 기작이 진화되어왔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생물센서에 대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국내헤서도 의,약학 및 식품분야에 생물센서를 이용하기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미 국내의 한 연구소에서 극미량의 바이오마커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한 예도 있다.

저자
Jameson K. Roger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4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4~91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